728x90 반응형 원효대사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숲은 1972년 8월 2일에 천연기념물 제23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천등산 중턱에 있으며 금탐사가 세워진 시기는 신라시대 선덕여왕 6년(637년)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에서 자라는 수종입니다. 잎은 두껍고 작으며 끝이 뾰족한게 특징입니다. 꽃은 봄에 피고 길고 둥근 열매는 다음해 가을에 익는다고 합니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이요되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변에는 서어나무·개서어나무·까치박달나무·졸참나무·갈참나무·산딸나무·느티나무·굴참나무·때죽나무·좁은단풍·소나무 등이 자라고 있으며, 하층식생을 구성하는 수종은 조록싸리·참싸리·철쭉·진달래·산철쭉·사스레피나무·보리밥나무·노.. 2023. 4. 15. 경북의 금강산 봉화 청량산 청량사 경북의 금강산 청량산 청량산의 아름다움은 이퇴계가 자신의 시조에서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는 나와 백구뿐"이라고 읊은 데서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청량산에서 글을 일고 사색을 즐겼으며 말년에 도산서원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는 와중에도 청량산을 들렀다고 합니다. 청량산 육육봉은 12봉우리로서 연꽃잎처럼 청량사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청량사는 연꽃의 중심 수술자리로 볼 수 있으며 공민왕의 친필로 전해지는 현판 "유리보전"과 "지불유리보전"은 약사여래불을 모신 곳이라고 합니다. 청량산 주변에는 최치원의 유적지인 공명대와 명필 김생이 서도를 닦던 김생굴, 암릉을 따라 금강굴, 원효굴, 의상굴, 반야굴, 방장굴, 고운굴, 김생굴등이 있습니다. 원효대사가 세운 청량사 경북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에 있는 신라.. 2023. 3. 28. 남해 금산 바다가 보이는 관세음보살성지 보리암 보리암은 신라 신문왕 원효대사가 세웠다는 사찰입니다. 처음에는 보광사로 불렸으나 조선 현종때 보리암으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보리암에는 삼층석탑이 있는데 인도 월지국에서 김수로왕의 왕비 허태후가 가져왔다는 붉은 빛을 띠는 돌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보리암은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금산에 자리잡고 있으며 해수관음상, 범종각, 보광전, 만불전, 3층석탑, 간성각 등이 있습니다. 기암절벽과 바다가 보이는 절경으로도 유명합니다. 남해 보리암 삼층석탑 보리암전삼층석탑으로 불리는 3층 석탑으로 주변 경치가 너무나 아름다워 더욱 유명해졌습니다. 2층 기단 위에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을 놓고 머리장식을 얹은 일반적인 형태의 석탑입니다. 김수로왕의 왕비 허태후가 가져온 사리를 원효대사가 이곳에 모셔 두었다 하기도 합니다. 석.. 2023. 3. 2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